헬로 월드
프로그래밍 언어 학습에 "Hello, World!"가 빠질 수 없죠. 아래 소스코드 우상단에 있는 초록색 실행 버튼을 눌러봐 주세요. 코틀린 소스코드를 실행한 결과가 곧바로 브라우저 화면에 보입니다. 아래 "Hello, World!" 문자열을 "헬로 월드!"로 수정해서 실행해 봅시다.
package org.kotlinlang.play // 1
fun main() { // 2
println("Hello, World!") // 3
}
소스 코드에 주석(코멘트)으로 1, 2, 3 숫자가 붙어있는 부분에 대해, 이하 설명이 이어집니다.
- 코틀린 코드는 패키지 안에 정의합니다. 하지만 패키지 선언을 꼭 해야 하는 건 아닙니다. 소스 파일에 패키지를 지정하지 않으면, 디폴트 패키지에 속하게 됩니다.
- 코틀린 애플리케이션의 시작점은
main함수입니다. 함수의 반환 타입이 지정하지 않았기 때문에, 아무것도 반환하지 않습니다. println는 표준 출력에 한 줄을 프린트합니다. 세미콜론(;)이 없어도 되는 점도 살펴봐 주세요.
만약, 애플리케이션 실행 파라미터를 입력받으려면, 아래 코드처럼 main 함수가 Array<String> 타입의 파라미터를 받도록 합니다.
fun main(args: Array<String>) {
println("Hello, World!")
}
실습 환경 설명
코드를 더 본격적으로 편집해보고 싶으면 소스코드 왼쪽 아래에 있는 "Open in Playground" 링크를 눌러 코틀린 플레이그라운드 사이트로 이동해서 실습하실 수 있습니다.